최고의 디지털트윈 시스템을 위한 기술의 집합

Digital Twin

최고의 디지털트윈 시스템을 위한 기술의 집합 최고의 디지털트윈 시스템을 위한 기술의 집합

통합 디지털 트윈 플랫폼(Baron - Digital Twin)

Digital Twin

통합 디지털 트윈 플랫폼(Baron - Digital Twin) 통합 디지털 트윈 플랫폼(Baron - Digital Twin)

부유식 해양플랫폼 계류 시스템 특화 기반 Digital Twin

Digital Twin - 미국 Williams 사의 SMMS(Smart Mooring Monitoring System) 수출

부유식 해양플랫폼 계류 시스템 특화 기반 Digital Twin 부유식 해양플랫폼 계류 시스템 특화 기반 Digital Twin
  • 플랜트의 생애주기 동안 측정 되는 대용량 자료 수집, 분석, 누락에 대한 예측
  • 3차원 정보를 이용하여 분산된 정보의 상호연계
  • 시스템의 잔여수명, 거동분석, 다차원 분석을 전문화된 시스템과 연계하여 수행
  • 플랜트를 운영 및 유지보수의 최적화를 위한 통합관리 시스템

부유식 해양플랫폼 계류 시스템 특화 기반 Digital Twin

Digital Twin - 미국 Williams 사의 SMMS(Smart Mooring Monitoring System) 수출

부유식 해양플랫폼 계류 시스템 특화 기반 Digital Twin 부유식 해양플랫폼 계류 시스템 특화 기반 Digital Twin

부유식 해양플랫폼 계류 시스템 특화 기반 Digital Twin

Digital Twin - 미국 Williams Co. ltd : Devils Tower & Gulf Spar

부유식 해양플랫폼 계류 시스템 특화 기반 Digital Twin 부유식 해양플랫폼 계류 시스템 특화 기반 Digital Twin
  • Deep-Learning (정형 데이터)
  • 대용량 기반의 누락 데이터 예측 엔진
  • 현재 Gulf Spar Platform을 대상으로 기능 개발 및 적용/ 보완 중
  • 기계 학습 기반 누락 데이터 보완, 오류 데이터 보완 기술
  • 전처리 데이터를 머신 러닝을 위한 데이터로 변환 후 적용
  • 실제 결과 데이터와 머신러닝 데이터 결과, 분석 시스템 결과 3가지를 비교

부유식 해양플랫폼 계류 시스템 특화 기반 Digital Twin

Digital Twin - Smart Mooring Management System 2.0 / 3.0

부유식 해양플랫폼 계류 시스템 특화 기반 Digital Twin 부유식 해양플랫폼 계류 시스템 특화 기반 Digital Twin
  • 빅데이터 및 딥러닝을 결합한 부유식 해양플랜트 계류 시스템 특화기반 디지털트윈시스템
  • 해양부유식 플랜트의 시설 등에서 계측되는 운전데이터를 비롯한 설계데이터를 포함, 플랜트의 운전 및 유지보수에서 기본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는 시뮬레이션 기반 안전성 평가, 운전 중 유지보수를 위한 사전 분석을 통해 설계 조건의 범위 내에서 안전성 확보, 유지보수 비용 절감을 위해 검사 관리를 포괄하는 시뮬레이션 기반 시스템
  • 해양 플랫폼 센터 데이터 수집 모듈, 빅데이터 솔루션 저장 모듈, 데이터 전처리 모듈, 딥러닝 학습데이터 생성 모듈

부유식 해양플랫폼 계류 시스템 특화 기반 Digital Twin

Digital Twin - 웹기반 딥러닝 기반 예측 AI 기술

부유식 해양플랫폼 계류 시스템 특화 기반 Digital Twin 부유식 해양플랫폼 계류 시스템 특화 기반 Digital Twin
  • 대용량 데이터(100만개 이상) 웹 가시화 기술
  • 대용량 데이터 웹 가시화 5초 이내 수행
  • 대용량 데이터 가시화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최적화 기술
  • 딥러닝 기반의 장력 값 예측 기술
  • 오픈소스 기반 그래프 최적화 기술

FOMWT Farm Designer System

Digital Twin - FOMWT(Floating Offshore Multi Wind Turbine) 대상의 전력 단지 설계, 시뮬레이션 및 운영 시스템

FOMWT Farm Designer System FOMWT Farm Designer System
  • 부유식 풍력 발전기 배치를 통하여 풍력 발전 단지를 미리 설계 및 시뮬레이션
  • 실제 운영 시스템과 연동시 운영 모니터링이 가능한 시스템
  • 다중 로터 방식의 부유식 풍력발전시스템(FOMWT)을 고려할 수 있는 풍력 발전단지 설계 및 시뮬레이션 운영 시스템
  • 연간 발전량 예측이 가능하며, LCOE 저감을 위한 기술(예: 후류 제어기술)도 고려한 최적의 풍력 발전단지 설계
  • 풍력 발전단지를 구성하는 풍력 터빈들의 상태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어 발전단지 모니터링 및 유지보수 계획 전략에 최적화
  • 풍력발전단지 전체의 센서를 통하여 상태 및 발전량 등 모니터링

부유식 라이다 시스템 모니터링 소프트웨어

Digital Twin

부유식 라이다 시스템 모니터링 소프트웨어 부유식 라이다 시스템 모니터링 소프트웨어
  • 예측할 수 없는 다양한 해황 환경에서의 해상 라이다의 안정적 운영과 라이다에서 수집되는 빅데이터의 효율적인 수집과 보관, 가시화를 통한 분석 기술 지원은 라이다 장비의 안정성과 활용성을 증폭시킬 수 있으며,
    이를 지원할 수 있는 라이다 장비에 특화된 통합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

SMART SHIP 플랫폼

Digital Twin

SMART SHIP 플랫폼 SMART SHIP 플랫폼
  • Smart Ship에 들어가는 중추적인 프로그램으로 선박내 각종 정보와 항해 정보 등을 선박 내, 외에서 확인이 가능
  • 스마트 폰을 통한 중요 정보들의 확인이 가능한 시스템 구축

상수도 디지털 트윈 시스템

Digital Twin

상수도 디지털 트윈 시스템
  • 상수도 관망에 대해 인공지능을 결합한 배관의 수질, 수명, 누수에 대해 예측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 배관 수명 예측알고리즘, 배관 내부의 유량, 압력, 수질을 예측하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과 결합하여 현재의 관망 사고에 대한 다각적인 대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

Vision AI / 물류자동화 컨테이너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Digital Twin - Deep-Learning (비정형 데이터 - Container 인식)

Vision AI / 물류자동화 컨테이너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 실시간 차량 번호판 인식과 컨테이너 인식의 첫 번째 단계는 영상 내의 객체 정보를 분리하는 작업
  • CNN Pooling 기반으로 제한된 객체 탐지를 위한 특징 정보 추출
    • 제한된 객체 탐지는 이미지 인식(Image Recognition), 핵심 포인트 탐지(Key Points Detection), 시맨틱 분할(Semantic Segmentation) 등 기존 컴퓨터 비전 업무와 마찬 가지로 정해진 수의 대상을 처리
  • 최종적으로 각 객체 클래스와 객체 경계 정보(위치 및 크기 정보)를 추출
    • 딥러닝 기반의 사물 인식기의 핵심 알고리즘 구조, 딥러닝 사물 인식 AI 엔진은 YOLO v4를 중심으로 구성, 단일 CPU 환경의 단순 훈련 환경에서 높은 성능의 정확도와 빠른 인식

Vision AI / 얼굴인식 기술 기반 대피소 인원 통제 시스템 개발

Digital Twin - Deep-Learning (비정형 데이터 - 대용량 얼굴 동시 인식)

Vision AI / 얼굴인식 기술 기반 대피소 인원 통제 시스템 개발 Vision AI / 얼굴인식 기술 기반 대피소 인원 통제 시스템 개발
  • 인공지능을 이용한 얼굴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재난 대피소에서 본인인증이 어려운 환경 하에서 주민을 신속 정확하게 파악하여 추적하며,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상황 하에서도 이재민을 관리하고 대피소 통제 관리가 가능한 인원 통제 시스템
  • 32인을 대상으로 등록된 정보를 바탕으로 동시에 신원 파악이 가능한 시스템

빅데이터 솔루션 및 관리 기능

Digital Twin

빅데이터 솔루션 및 관리 기능 빅데이터 솔루션 및 관리 기능

사용자 Interface - 2D/3D interface

Digital Twin

  • 사용자에게 실데이터를 반영한 2D/3D interface를 제공하여 대상 물체의 실제 움직임을 확인 할 수 있음
  • Time-Tracking 및 반영 속도 변경을 통하여 Time line별 대상 물체의 위치 정보와 상태 정보 확인 가능
  • 실시간 2D Graph 제공 및 각 위치 및 상태에서의 센서 별 위치 정보 확인 가능

대용량 정형 데이터 시각화 기술 (C/S & Web)

Digital Twin

  • Web 환경
  • 15만개의 데이터에 대하여 90ms 이내에 대화형 차트 생성 가능
  • 최대 31,000 pts/ms 까지 가능 (Query 결과가 돌아오는 시간 제외이며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 대하여)
  • 좌측 동영상 참조 (10만개) - 자동 스케일링 기능을 구성하였음
    (자동 스케일링이란 많은 데이터를 보여질 경우 상세한 데이터들 모두를 출력하는 것이 아닌 데이터의 전체적인 그림을 보여주고 이를 확대하는 경우 출력시키지 않던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식으로 전체적인 큰 스케일에서는 넓게 데이터를 뿌리고 확대시에 축소 하며 각각의 데이터를 보여지는 기능)
  • 자동 스케일링에 의한 그래프 형태의 변형을 막기 위하여 점단위로 찍는 것이 아닌 Vector를 기반으로 이를 화면에 출력하는 형태로 제공
  • C/S 환경
  • Vector 기반 가시화 시스템 : 86,400(초당 데이터) * 27(graph) = 2,332,800개의 데이터 1초 이내 출력
  • 우측 동영상의 경우 데이터 Query 포함 1초 이내 출력

국가 원자력 안전 통합관리

원자력 - 원자력 / 방사능 방재 및 원자력 핵 통제

국가 원자력 안전 통합관리 국가 원자력 안전 통합관리

방사능방재 재난대응 / 원자력 발전소 안전 정보관리

원자력 - AtomCARE : Atomic Computerized technical Advisory system for a Radiological Emergency

방사능방재 재난대응 / 원자력 발전소 안전 정보관리 방사능방재 재난대응 / 원자력 발전소 안전 정보관리
  • 원자력발전소의 실시간 운전정보를 수집 관리하여 상시 발전 설비 및 기기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시스템으로 사고, 고장 시 발전소의 현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상황에 대해서는 관리 요원들이 실시간으로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다양한 Alarm 발송 체계 구성
  • 원전변수 수집관리, 원전 주요기기 상태확인, 실시간 원전변수 모니터링, 이상감지 및 이벤트 분석 알림발송, 방재 훈련 및 사고 상황 발생시 정보공유

방사능방재 재난대응 / 원자력 발전소 안전 정보관리

원자력 - 비상대응 정보교환시스템(ERIX) : Emergency Response Information eXchage System

방사능방재 재난대응 / 원자력 발전소 안전 정보관리 방사능방재 재난대응 / 원자력 발전소 안전 정보관리
  • 방사능 방재훈련 및 사고 상황 발생시 기존의 전화 및 FAX로 상황정보 또는 비상대응 조치 정보를 송수신하던 체계를 인터넷 환경으로 쉽고 빠르게 교환할 수 있도록 개발된 비상대응 정보교환 시스템
  • 원격지에 떨어져 있는 방재유관기관 간에 상황정보 및 조치내용의 정보를 신속하게 공유함으로써 유기적으로 비상대응을 체계적으로 진행 할 수 있도록 구성

방사능방재 재난대응 / 원자력 발전소 안전 정보관리

원자력 - 방사능영향평가 정보관리(ADAMO) : Accident Dose Assessment MOdeling system

방사능방재 재난대응 / 원자력 발전소 안전 정보관리 방사능방재 재난대응 / 원자력 발전소 안전 정보관리
  • 국내외 원전에서 방사능재난 발생 시 방사성물질의 대기확산예측 및 주민 예상피폭선량을 평가하여 주민보호조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
  • 실시간 기상예측자료 수집 및 전처리, 방사성물질 대기확산예측, 주민 예상피폭선량평가 등의 과정이 연계되어 있음

방사능방재 재난대응 / 환경방사선 정보관리

원자력 - IERNet : Integrated Environment Radiation Monitoring Network

방사능방재 재난대응 / 환경방사선 정보관리 방사능방재 재난대응 / 환경방사선 정보관리
  • 환경방사선의 일상적인 감시를 통하여 방사선비상시 영향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며, 국내․외 원자력 사고, 핵실험, 인공위성의 추락 등으로 인한 방사능 이상사태를 조기에 탐지하기 위함
  • 실시간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온라인 통신과 원격에서 감시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정보처리프로그램을 구축하여 우리나라 전역의 방사선비상사태 조기 탐지능력의 확립 및 비상대응체제를 유지․발전시키기 위하여 국가환경 방사선 자동감시망을 운영

국가방사능통합 시스템

원자력 - KORUS : Korea Radioactivity / Radiation United System

국가방사능통합 시스템 국가방사능통합 시스템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 운영 중인 국가환경방사선자동감시망(IERNet) 및 국가방사능상황관리시스템(SIREN) 등 7개 환경방사능감시 정보 인프라를 통합
  • 5개 정부 중심부처(식품의약품안전처 및 환경부 등)의 환경방사능 자료연계와 함께 신속분석 네트워크를 통한 자료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국내외 원전 및 대규모 방사선 사고 시 비상대응조직에게 신속·정확한 환경방사능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발

국가핵물질 통제

원자력 - 안전조치통합정보시스템, 국가계량관리보고 시스템

국가핵물질 통제 국가핵물질 통제
  • 평화적 목적의 원자력 산업 활동에 따라 수반되는 핵 물질, 장비, 시설, 기술 및 이들에 의해 파생되는 핵 물질 등에 대한 효율적 관리를 위한 심.검사 업무처리 및 정보관리시스템
  • 핵 물질 이용시설의 핵 물질 재고량 보고 데이터 관리와 보고서 오류를 검증하며 한국-캐나다, 한국-호주 양국간 협정에 따른 연례 보고서 관리, 안전조치관련 법규 및 협정관련 자료 관리, 기타 안전조치관련 문서 및 정보관리 시스템

국가핵물질 통제

원자력 - 수출입통제 시스템(NEPS) : Nuclear Export and ImPort Control System

국가핵물질 통제 국가핵물질 통제
  • 전략물자 및 국제 규제물자의 수출입 관련 민원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운영중인 시스템
  • 민원인의 전략물자등의 수출입을 지원하기 위한 민원시스템, 심사를 통한 수출허가, 요건확인등의 내부 심사수행를 위한 심사시스템, 모바일 정보제공을 위한 NEPS모바일 시스템으로 구성

안전정보 전송시스템

원자력 - 한전원자력연료(KNFC) 안전정보관리

안전정보 전송시스템 안전정보 전송시스템
  • 한전원자력연료㈜ 핵연료 1,2,3동의 실시간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여 임계/배기구감시기의 비상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방사능 이상사태를 조기에 탐지하기 위한 시스템
  • 실시간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온/오프라인 통신모듈 구축과 실시간 운영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운영환경 구성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

ERP - ERP :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

ERP - 통합정보시스템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의 ERP 시스템 구축 및 운영(2007~2017)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KINAC)의 통합정보 시스템 구축 및 운영(2017~ )
  • 외부 연계 시스템
    • 그룹웨어 결재시스템
    • 국세청 전자세금계산서
    • 연구비카드, 예금주 확인 서비스 (국민은행)
    • 법인카드(BC카드사)
    • 연구재단 통합이지바로시스템
    • 범부처통합 연구시스템(IRIS) 연계 준비중

원가추산 관리시스템

ERP - 국방과학연구소(ADD)

원가추산 관리시스템 원가추산 관리시스템

전문연구정보센터 관리 시스템

ERP - 한국연구재단(NRF)

전문연구정보센터 관리 시스템 전문연구정보센터 관리 시스템
  • 전문연구정보센터의 연구정보서비스 홍보 및 운영을 지원하고, 구축된 연구정보의 소통·공유를 촉진하여 정보화 및 홍보 활성화 기여
    • 다양한 콘텐츠와 통합관리로 이용자 맞춤형 연구정보 제공을 위한 지원
  • 전문연구정보센터 지원 및 사업 운영 총괄 역할 수행
    • 중앙센터 사업 운영지원, 성과관리, 분야별 전문센터 홍보 및 대내·외 협력 지원, 인프라 운영·관리 등을 지원하여 연구정보사업의 활성화 지원